요즘 파이썬을 이용해서 궁금했던 것들을 하나둘 시뮬레이션해보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과연 요일에 따라서 사기 좋은 날과 안 좋은 날이 있을지 찾아 계산해 보았습니다.
1. 시뮬레이션 방법
변화율은 장 마감을 기준으로 계산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 장마감에 샀을 경우에 주식이 다음날 장마감에 몇 퍼센트나 올랐는지를 계산한 값입니다. 여기서 Sum은 그 값을 모두 더한 것, mean은 평균값, count는 오른날과 떨어진 날의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를 계산한 값입니다. 플러스는 오른것 마이너스는 떨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Close을 기준으로 분석한 이유는 Open 직후에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내가 신뢰할 수 있는 data는 Close에 더 가까울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요일 안에서의 변화율이 아닌, 다음 날간의 가격 변동을 중심으로 본 이유는, 장외 가격 변동까지 포함된 다음날과의 변동성이 더 의미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단타를 치는 것이라면 하루 안에 가격 변동성이 더 의미 있겠네요.
2. S&P 500 Close 기준으로 분석
2-1. 분석 기간 (1927-12-30 - 2023-09-07)
전체 기간으로 보았을때 화요일이 가장 많이 오르고 오르는 날수(count)도 가장 많았습니다. 유일하게 금요일만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2. 분석 기간 (2000-1-1 - 2023-09-07)
분석 기간을 2000년 시작을 기준으로 하니, 목요일과 금요일에 하락이 있고, 월요일에 가장 큰 상승이 있었습니다.
3. 나스닥, 다우존스 Close 기준으로 분석
3.1 나스닥 (2000-1-1 - 2023-09-07)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S&P500와 같은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목요일와 금요일에 빠지고, 월화수에 상승하였습니다.
3.2 다우존스 (2000-1-1 - 2023-09-07)
다우존스는 목요일에 하락하고 월요일 샀을 경우 큰폭으로 상승하네요.
4. Open에서 샀을때 기준으로 계산 (2000-1-1 - 2023-09-07)
Open일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다른 결과를 보여줄까 싶어서, 다시 계산해 보았습니다. 정도는 다르지만 금요일에 빠지고 나머지는 오르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주식에는 월요일에 주식이 빠지는 월요일 효과라는 게 있다고 합니다. 단순히 "월요일에 빠진다"가 아니라 "월요일 이전 장외에서부터 빠지기 시작한다"로 보면 해석이 되는 것도 같습니다.
5. 월요일에 사고, 금요일에 팔 경우 시뮬레이션 결과
2000년에 $1000을 가지고 주식을 샀을 경우를 상장합니다. 간단한 비교이기 때문에, 수수료나 TAX 같은 것은 것은 전혀 고려 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두가지 "요일 전략"과 "휴일 전략"이 있습니다. 요일 전략은 "금요일에 팔고 월요일에 산다" 휴일 전략은 "휴일전(주말과 공휴일등)에 팔고, 휴일이 끝나고 산다"입니다. 만약 금요일 이후 빠지는 이유가 단순히 휴일기간 동안의 악재라면, 요일 전략보다 휴일 전략이 더 적합하다 판단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결과를 보면 요일 전략은 위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약간 우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라면 수수료와 TAX 때문에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겠지요.
휴일 전략은 놀랍게도 약간 열세에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아래에 보면은 초반에는 조금 우위에 있기도 하였지만 2018년 이후 역전 당하였습니다. 휴일처럼 긴 휴일이 있는 경우에는 금요일에 이미 빠져있어서 그런가 싶기도 하지만, 분석은 여기까지 하였습니다.
6. 분석 결과 요약 및 생각
통계적으로 볼때, 주식은 금요일에 살경우에 주말과 월요일 동안 빠질 수 있으니 월요일 장마감쯤에 구매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주식을 사자마자 떨어진다면 기분이 좋지 않겠지요..?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도 요일 전략이 약간의 우위에 변동성도 줄어든 것을 보면 나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전략은 노력이 들어간 만큼의 큰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이렇게 샀다 팔았다 하면 수수료만 더 나가겠지요.. 그래도 저는 이왕이면 월요일말에 주식을 사지 않을까 합니다.
이건 단순히 통계적인 데이터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분석 > 분석 결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 500 레버리지 ETF 비교 (SSO, UPRO, SPY + 대출) (0) | 2024.08.20 |
---|